[ 진흥원 ] [보도자료] 한국건강가정진흥원, 가족상담전화(1644-6621) 챗봇 상담 영어서비스 운영 개시 |
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한지훈 | 작성일 | 2021-09-17 | 조회수 | 1554 |
첨부파일 | |||||
한국건강가정진흥원, 가족상담전화(1644-6621) 챗봇 상담 영어서비스 운영 개시 - 코로나19 시대, 디지털 혁신 노력으로 국민 맞춤형 서비스 강화 - □ 한국건강가정진흥원(이사장 김금옥)은 9월 17일(금)부터 가족상담전화(1644-6621)의 카카오톡 채팅로봇(이하‘챗봇’)상담‘영어서비스’를 개시한다고 밝혔다. ㅇ 가족상담전화 챗봇 상담 영어서비스는 기존의 한국어로 제공하고 있는 △임신⋅출산갈등상담 △양육비상담 △한부모가족상담 △심리⋅정서상담 서비스를 동일하게 영어로 구현한 서비스이다. ㅇ 영어서비스 개시로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 국민도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챗봇 검색으로 가족과 관련된 정책이나 서비스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. □ 챗봇 서비스는 365일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며, 채팅창에 원하는 상담 내용을 한국어 또는 영어로‘간단한 문장이나 단어’를 입력하면 챗봇이 관련 정보 및 정책 등을 해당 언어로 제공한다. ㅇ 한부모지원(Support for single-parent families, 양육비지원 (Child Support, 아이돌봄서비스(Child Care Service) 등 한부모가족 지원정책 및 정부 지원 서비스, 관련 시설안내, 양육비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. ㅇ 챗봇을 통해 충분한 답변을 얻지 못한 경우, 13개 언어로 상담을 할 수 있는‘다누리콜센터 1577-1366’이 안내되어 있어 유선 상담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. ※ 다누리콜센터(1577-1366)는 결혼이주여성 출신 상담원이 한국생활정보제공, 가족 갈등 상담, 위기·긴급지원(폭력) 등을 365일 24시간 13개 언어*로 제공한다. 현재 서울 및 지역 6개소**에 콜센터를 두고 있다. * 베트남어, 중국어, 타갈로그어(필리핀어), 몽골어, 러시아어, 태국어, 크메르어(캄보디아어), 일본어, 우즈베키스탄어, 라오스어, 네팔어, 영어, 한국어 ** 경기 수원, 대전, 부산, 경북 구미, 광주, 전북 전주 □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. 카카오톡에서‘가족상담전화’채널을 추가한 뒤 챗봇 상담을 클릭하면 365일 24시간,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. ☞ 카카오톡 채널 바로가기 : https://pf.kakao.com/_BclwK ㅇ 향후 많은 국민이 가족상담전화 챗봇을 이용할 수 있도록 ‘가족상담전화 챗봇 상담 영어서비스 개시 소문내기’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이다. □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은 이번 챗봇 영어 상담 서비스 확대를 통해, 다문화가족과 외국인 국민이 손쉽게 가족 관련 정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. ㅇ 또한,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단순한 안내, 서비스 설명 등 기존 상담원이 유선으로 진행하던 응대를 디지털 혁신을 통해 챗봇이 직접 안내하도록 운영하여 상담의 질을 높이고, 국민은 손쉽게 한국어와 영어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하였다. □ 김금옥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장은 “가족상담전화(1644-6621)의 챗봇상담 영어서비스 확대로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가족들이 가족정책 서비스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받게 될 것”이라며, “앞으로도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은 업무혁신과 다양한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”라고 밝혔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