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연구보고서 및 발간물

연구명 KIHF 이슈브리프 2024-4호_가족기능 수행 및 중요성 인식 조사
발행일 2024. 11.
조회수 114
파일 2024 브리프 4호.pdf



[KIHF 이슈브리프 제 4호]


2024. 11

NO. 4

발행처 한국건강가정진흥원

발행인 박구연

https://kihf.or.kr

가족 관련 이슈 및 연구동향, 한가원의 주요연구 공유를 하고자 발간된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발간물입니다.


○ 제    목 : 가족기능 수행 및 중요성 인식 조사


○ 기    획 :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조성은·오청미


○ 주요내용


1. 연구 목적

 - 인구 및 사회 변화에 따른 가족기능의 수행 수준, 우선순위를 두는 가족기능, 향후 지원받고자 하는 가족기능을 파악하여, 가족서비스 수요 변화와 신규 추진할 가족서비스 지원 사항 점검

2. 연구 방법

 - 조사 기간 및 방법 : 2024년 8월 20~27일, 온라인 설문조사(Web Survey)

 - 대상 : 전국 만 20~69세 남녀 1,604명(남성 48.1%, 여성 51.9%), 가족센터 이용자 포함

 - 분석 : 기술통계, ANOVA, Duncan 검증을 통해 결과 도출

3. 조사 결과

 - 가족기능 수행 수준 : 가족기능 수행 평가 문항 중 가족지지 기능의 하위 문항인 "힘들 때 서로 의지가 된다"(5.59점)가 가장 높은 수행 점수를 나타냈으며, 문화계승 기능의 하위 문항인 "가족은 세대 간 문화를 전승한다"(4.72점)가 가장 수행 점수가 낮은 문항으로 나타남

 - 가족기능 하위영역별로 점수를 표준화해서 하위기능을 비교한 결과 가족지지(5.46점) > 돌봄·부양(5.23점) > 문화계승(4.93점) 순으로 나타나, 현재 가족을 통한 문화계승 기능은 수행이 가장 낮은 반면, 가족 지지기능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어, 향후 가족 수 감소, 1인가구 증가 대비 가족지지 기능을 유지 강화하는데 대한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

 - 남성은 돌봄·부양, 문화 계승 기능 수행이 많이 이루어진다고 평가했으며, 여성은 경제적 기능 수행 점수가 높아, 가족기능에 대해 남성과 여성의 수행 인식 평가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

 - 가구 유형별로 t-test 결과 다가구가 일인가구보다 가족기능 수행 점수 높았으며,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, 사회적 고립이 적을수록 가족기능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남

4. 가족기능 중요도 인식

 - 나에게 중요하다고 1순위로 평가된 기능은 “정서적 기능, 가족지지 기능” 순으로 나타남 

 - 사회 지원 필요 1순위로 평가된 기능은 “돌봄·부양 기능, 경제적 기능” 순으로 나타남  

 - 사회 유지를 위해 중요 1순위로 평가된 기능은 “경제적 기능, 돌봄·부양 기능” 순으로 나타남

5. 정책적 제언

 - 가족 규모의 축소, 기능 약화가 지속된다면 가족에게 받아왔던 지지와 정서적 기능이 유지되거나 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며, 이는 사회적 고립 문제의 예방과 문제해결의 대안으로서도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음 

 - 사회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과 돌봄 서비스 지원이 우선되어야 하며, 특히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와 노인대상 신규 돌봄 서비스 지원 방안 발굴이 필요함


○ 목차

 - 연구 목적

 - 연구 방법

 - 조사 결과

 - 가족기능 중요도 인식

 - 정책적 제언


* 상기 내용은 외국인과 다문화가족의 번역기사용을 원할히 하고자 글자로 서비스 중이며, 

  이미지로 보시기 원할 경우 첨부된 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 

이전,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전글 고용보험 자료를 활용한 가족친화인증제도의 효과성 분석
다음글 2023년 가족센터 인지도 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?

[평균 5.0점 / 2명 참여]
평가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?
[평균 5.0점 / 2명 참여]
평가